모터의 절연 테스트 란?
모터의 절연 테스트 란?
가. 전동기의 절연 저항 측정(Insulation resistance measurement)의 필요성
1). 전동기의 절연 저항 측정은 년 2회 정도로
실시하되 외부 또는 자체 전기기사가 측정하여
기록 보관한다.
2). 전동기의 단자 케이스 커버를 열고 전선을 분리하고, 절연
저항계(Insulation resistance
tester) 일명 메가 테스터(Mega Tester)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좋으나현장의 상태에
따라서 배전반(MCC Panel) 또는 분전반(Field Panel)의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
통칭-마그넷) 2차 측에서 측정해도 된다.
3).전동기의 단자 케이스에서 측정을 할 경우에는 선과 선의 절연저항 측정과 선과 케이스(단자함)
간의 절연 저항을 측정하게 된다.
-.절연 저항계의 접지 측 리드 선(흑색)을 기기의 외함 접지선 부분에 연결하고,
라인 측 리드 선
(적색)을 각 각의 전선에 연결하여 저항 값을 측정한다.
-.측정 값은[ 0]Ω(옴)에 가까워야 한다.
나. 절연 저항 측정 방법
절연 저항의 측정은 측정대상,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절연저항측정기(메가테스타)는 절연저항측정기 자체에서 높은 전압을
발생케하여 절연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1. 절연 저항이란 : 전기가 통하는 전선과 기기간의 절연된 상태의 저항
값(Ω)이라 할 수 있고 절연
저항은 전기 제품의 수명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2. 절연 저항의 측정기구 :
절연 저항의 측정은 절연 저항계(메가)를 사용하여 측정을 하게 되는데,저항계측기(메가)는
일반적으로 저압에서는 250v급, 500v급을 사용하고 고압에서는 1000v급,200v사용하게 된다.
3. 절연저항의 측정방법 :
1).모터의 ㅣ경우 권선중 선과 선간의 측정 : 상 과 상의 측정이라 하여 1선과 또 다른 1선간에 저항
(Ω)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상과 상의 절연 저항을 측정하고자 한다면 회로의 모든 부하를 제거 하여야 한다.(전열회로에서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기기 플러그 뽑기와 전등회로의 스위치를 모두 내려야 한다. 그렇치 안으면
기기의 내부 회로가 합선된 것으로 측정기기는 인식을 하여 지침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단상일 경우에는 절연 저항계의 리드 선을 한 선에 절연 저항계의 접지 측 리드 선을 다른 한 선에
연결하고 측정값을 읽으면 된다.
2).선과 케이스 함 간의 측정 : 선과 케이스 함 간의 측정이란 선과 접지와의
측정이라 할 수 있다.
-.절연 저항계의 접지 측 단자를 접지 측(대지)에 연결하고 라인 측 리드 선을 각 상에 연결하여
그 측정값 (Ω)을 읽는다.
-.기기의 외 함과 전선 간을 측정하고자 할 때도 기기의 외 함이 반드시 접지 되어 있는 것이 좋다.
3).측정하고자 하는 회로의 주 차단기는 개방하여(내림) 둔다.
측정값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각 각의 분기
차단기를 모두 개방을 하고 각 분기회로마다 나눠
절연 저항을 측정해 나가면서 불량 한 곳을 찾는다.
4. 절연 저항 값(Ω) 규정
저압 선로의 절연 저항 :저압 선로에 대하여는 전선 상호간
및 선로와 접지 사이의 절연 저항을
아래의 값(Ω)(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선로의 사용 전압 구분
|
절연 저항 값
|
400V미만
|
대지전압이 150V이하인 경우
|
0.1MΩ
|
대지전압150V 초과 300V이하인 경우
|
0.2MΩ
|
사용전압이 300V 초과400V 미만인 경우
|
0.3MΩ
|
400V 이상
|
|
0.4MΩ
|
다. 전동기의 고장 발견
전동기 고장(소손)의
원인으로는 전기적인 원인과 기계적인 원인으로 구분 할 수가 있다.
가.전기적인 원인 : 과부하, 결상(단선),구속, 층간 단락,
권선의 지락, 순간 과전압
나.기계적인 원인 : 전동기 회전자가 고정자에 접촉, 베어링의 마모, 윤활유 부족에 의한 열전도
(샤프트 와 베어링 고착)
여기서는 전동기의 전기적인 원인으로 인한 고장을 대상으로 하며 크게
단선, 합선, 누전으로 나눌 수 있다.
1). 단선은 전동기의 내부 코일이 어떠한 원인(과부하로 과열되어 단선, 연결부분 접촉 불량 등)에
의하여 끊어진 것을 말한다.
-.전동기에 연결된 전선의 양 단을 멀티테스타로 측정한다.
(멀티테스타의 선택 스위치를 저항계에 두고 측정)
-.측정값이 무한대( 또는 수 메가옴이
나온다면 단선, 또는 코일 연결부분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
-.이때는 전동기의 내부 코일을 교환하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대부분 모터 수리업체에 의뢰함)
2).합선은 전동기에 과부하가 걸려 내부 코일이 과열되어 코일과 코일이 맞닿아서 발생(절연 파괴)
하는 현상이다
.
-.단선과 마찬가지로 멀티테스타를 저항계에 두고 저항 값을 측정한다.
-.측정값은[ 0]Ω이 되며 이 또한 모터 수리업체에서 내부 코일을 교환하여야 한다.
3).누전은 전동기의 내부 코일이 과부하 등으로 피복이 벗겨져서 기기의 외부 케이스에 접촉 되는
현상을 말한다.
-.내부코일의 절연파괴는 합선의 원인과 같은 과부하 상태에서의 운전과 전동기를 오래 사용 시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
-.또는 전동기 내부로 물이 들어가거나 절연 파괴된 부분에 습도에 의해서 누전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멀티테스타 보다는 절연 저항계를 사용 절연저항 측정(누전 점검)을 하는 것이
좋다.
*.모터가 단상일 경우에는 위의 고장과 함께 콘덴서의 고장으로 인한 모터 불량이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콘덴서의 고장으로 회전자계(회전방향
선택)를 발생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참고로 삼상 전동기는 삼상 자체에서 회전 자계를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삼상 전동기에 연결된
콘덴서는 저압 진상 콘덴서(Low voltage Power Capacitor)로서 역율 개선용으로 사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