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스터 펌프(Booster pump)란?
디디씨(DDC)란?
1. DDC 의 기원
DDC란 무엇이냐? 라는 질문은 하는 사람은 물론
DDC(Direct Digital Control Controller)가 무었을 하는 것이지 몰라서 묻는 것이
틀림없다. 그런데 DDC가 무슨 뜻이냐? 하고 물으면 혹자는 Digital Control System
의 약어 아니냐 ? 말하는 사람은 있으나 이는 빌딩자동제어 업계에서만
통용되는 용어로서 학계에는 알려져 있자 아니하고 이에 대한 논문이나 책자가 없는
실정이다. 이는 그 기술이 폐쇄되어 있어 업계간 혹은 거래상에서 그 기술을
공개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일종의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여 A/S 영업의
이익을 보장 받으려는 업체들의 속셈이 있기 때문이다.
2. PLC의 변형 DDC의 탄생
1980년대 들어와서 대형 빌딩들이 건설되면서 PLC를 채택하기
시작하였고 이들 빌딩 자동화 전문업체들은 PLC 가 고가 인데다가 이미 대형화
되어있어 빌딩 특성상 층별로 분산하여 설치할 목적으로 소형화 하면서 일부 아나로그
제어기능을 추가하고 성능을 다소 낮추면서 저가형 PLC를 만들어 중앙 감시제어 프로그램과
접목시킨 일종의 빌딩제어 전용 PLC를 DDC 라 부르기 시작하였다
3. DDC 의 기능
PLC에 비하여 다양성등은 없으나 빌딩 냉/난방제어에
필수 적인 아나로그 제어 기능을 추가하여 개발한 것이기 때문에 PLC와 차별화
하기 위하여 DDC라고 유럽의 한 업체에서 부르기 시작한 것이 그 효시가 되었다.
즉 DDC 는 타이머[Timer] 와 릴레이[Relay] 및 카운터[Counter]기능 이외에
아나로그 입력 값 죽, 온도,습도, 압력등 이 추가 되고 출력으로도 아나로그 가 추가
되어콘트롤 밸브의 비례제어가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한마디로 말하면 DDC
는 변종의 폐쇄형 PLC 이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에 와서는 DDC 의 성능을 수백배 이상
향상 시킨 고 기능화된 PLC 가 출현 함으로 인하여 DDC는 시장을 잠식 당하고 말았다.
4. DDC 의 주요 용도
그 용도는 빌딩의 냉난방 공조 설비와 유틸리티에 국한되어
있다. 왜냐하면 타용도에 억지로 사용 할 수는 있으나 융통성 및
확장성이 없어 기능도 떨어질 뿐아니라 가격이 터무니없이 올라가기 때문에
경쟁력이 없다. 물 론 도입 초기에 시방서의 사양을 맞출수
없기 때문에 접근조차 불가능하다.
5. DDC의 향 후 추세
DCS / DDC 등 일부 분야 전용 제어기기는 고기능 PLC로
대체되고 있으며 그 기능UDC(Universal Digital Controller)화 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SoftPLC 가 개발되어 특정 용도로 사용이 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I/O 모듈도
많이 선을 보이고 있으나 이들 SoftPLC 가 PLC의 앞날에 일부 영향을 줄지
아니면 SoftPLC도 역시 I/O 모듈이 필요한 것이므로 상호 보전적 관계를 갖게 될
것 같다.
- 세계
유명DDC 메이커들은 이미 도산 하거나 인수 합병되어 이름조차 사라진 진 경우와
제품의 단종
사태 등으로 세계적인 문제로 사용자들의 애로사항이 많다.
예를
들어;
Landis
& Gyr, Staefa Controls, Barbercoleman, Robertshaw, Powers, MCC,
Tour
& Anderson, Satchwell 등.
- 그러나
현재 미국등지에서는 DDC를 소형화 하여 Web을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축하여
판매하는
회사들이 있으며 이들 회사들은 활로를 찾기위하여 동종 업체들 끼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 규약을 만들어, 예로 (Protocol BacNet) 빌딩군 간의 상호
다른
시스템이
설치될 경우 데이터 의 호환가능성을 열어두어 개방화된 PLC 시스템과 경쟁을
하기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일부
미국의 빌딩 자동화 전문회사들은 DDC에 고속CPU로 탑재하고 BacNet 만들었으나
이들 BAS/IBS
특성상 기술을 개방을 하지 않기 때문에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8. 결론
향후 DDC니 DCS, PLC등으로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 해 질 것이다.
결국 이들 모든 제어기는 디지털 기술(Computer technology) 을 이용한 제어기
임은 틀림없다.
디지털 제어기하면 마이콤을 이용한 전용 제어기가 많이
있으나 사용자 요구에 맞는 자유 프로그램 방식을 채택한 것이 DDC, DCS의 특징인데
이들 전용 제어기기들은 이제 그들 특성을 PLC에 의하여 침범 당해 생산성이나 기술
개발 면에서 PLC들에 뒤쳐져 결국 생산이 중단되거나 PLC화하여 고기능 PLC로의 대체가
보편화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들을 채택한 모든 시스템이 결국 어떠한 방법으로든지
상호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상호 거미줄처럼 네트워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올 것이기 때문이다.
|